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로고

SITEMAP 전체메뉴

공지사항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제목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민주·평화·인권의 미래를 논한다 9월 4일~5일,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 소속기관 모여 워크숍 개최
  • 2025-09-02 09:05
  • 조회 16

본문 내용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민주·평화·인권의 미래를 논한다

94~5,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 소속기관 모여 워크숍 개최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오늘의 민주주의와 연결하는 역사적 성찰

전북 정읍시 소재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민주·평화·인권 관련 국내 7개 기관 임직원 120여 명 참석 워크숍 개최



우리 역사의 아픈 상처이자 자랑스러운 민주주의 역사를 계승하고 발전시켜온 기관들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신순철)에 모인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오는 94일부터 5일까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황토현전적에 소재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서 ‘2025년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동아시아 민주·평화·인권 네트워크는 국가폭력 및 과거사 관련 국내외 기관들이 인류 보편의 가치인 평화·인권·화해 정신을 확산하기 위해 2012년 출범하였으며, 매년 워크숍을 통해 교류와 연대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국내의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노근리국제평화재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주4·3평화재단, 5·18기념재단,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를 비롯해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관, 오키나와 평화기념관, 대만 2·28기념관, 국가인권기념관준비사무소 등이 함께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 첫째 날에는 민주주의, 평화, 인권의 현주소를 되짚어보는 강연과 라운드테이블이 마련된다. 조형근 전 한림대 교수는 동학농민혁명에서 응원봉까지라는 주제로 민중과 소수자의 저항과 연대를 통한 민주주의 미래를 모색한다. 이어 각 기관은 주요 사업과 활동을 공유하며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해설 프로그램에도 참여한다.

둘째 날에는 전봉준 고택, 사발통문 작성터, 만석보 터 등 동학농민혁명 유적지를 답사한다. 이를 통해 131년 전 농민군들의 희생과 연대를 오늘날 민주주의 과제와 연결하며 민주주의 뿌리를 성찰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신순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은 오늘의 민주주의는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며, 우리 국민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이라며 이번 워크숍이 민주주의·평화·인권의 가치를 배우고, 각 기관 간 협력과 연대가 더욱 깊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을 비롯하여 노근리국제평화재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주4·3평화재단, 5·18기념재단,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등 7개 기관 임직원 12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붙임>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전경 사진 1.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황토현전적 불멸바람길 동상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전경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ㅣ 사업자정보확인 404-82-08587 ㅣ 통신판매업신고 2023-전북정읍-0046호

문화체육관광부 전북특별자치도청

예약하기예약

찾아오시는길오시는길

위로

조직도 조직도

조직도 유족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