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서론 – 지역사 연구 방법과 과제
일러두기
제1장 1862년 농민항쟁과 사회변동
1. 19세기 중엽의 사회경제 상태와 신분질서의 약화
1.1 19세기 중엽의 사회경제적 변동과 삼정문란
1.2 사족층士族層 분화와 신분질서의 약화
2. 1862년 농민항쟁의 발생과 전개
2.1 대・소민인大・小民人 주도의 1차 봉기
2.2 소・빈농층 주도의 2차 봉기
3. 농민항쟁 이후의 사회변동
제2장 개항 이후의 사회적 갈등과 동학농민전쟁
1. 1870년대 삼정개혁의 추이와 1883년 농민항쟁
1.1 고종집권 초기의 반동과 1883년의 농민항쟁
1.2 농민항쟁 이후 향약 시행과 요호부농층의 동향
2. 동학의 전파와 1894년 동학농민전쟁
2.1 동학의 전파와 동학군의 개혁운동
2.2 지방관아세력의 반격과 동학농민군의 성주읍성 점령
제3장 한말 유교지식인층의 현실 인식과 국권회복운동
1. 한계 이승희의 내수자강 개혁론과 국권회복운동
1.1 내수자강론의 형성과 〈의진시사소擬進時事疏〉의 국권회복론
1.2 국채보상운동과 구국외교활동
2. 대한협회 성주지회 참가층의 현실 인식과 구국계몽운동
2.1 대한협회 성주지회 참가층의 현실 인식
2.2 대한협회 지회 설립과 친일합방파 규탄운동
2.3 성명학교 설립
제4장 일제강점기 사회변동과 민족운동
1. 일제 병탄 이후의 사회변동과 유림의 동향
1.1 민족운동 탄압과 식민지 지배체제의 구축
1.2 1910년대 이승희의 민족운동과 성주유림의 동향
2. 유림단 독립청원운동과 3・1운동
2.1 유림단 독립청원운동과 유림의 참여
2.2 3・1만세운동과 주도층
3. 1920・30년대의 민족운동
3.1 유림층의 제2차 유림단의거와 동창학원 운영
3.2 부르주아 민족운동의 전개와 신간회 지회 결성
3.3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확산
제5장 해방 후 건국운동의 분열과 좌우 대립
1. 인민위원회 결성과 모스크바 삼상결정 지지
2. 10월 항쟁과 좌우 대립
3. 단선 단정 반대투쟁과 국민보도연맹의 조직
3.1 남로당 조직의 확대와 단선 단정 반대투쟁
3.2 경찰의 좌익 토벌과 국민보도연맹 조직
제6장 한국전쟁의 내전 양상과 반공분단체제 확립
1. 한국전쟁 초기의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과 학살
2. 인민군의 진주와 점령정책
2.1 인민군의 점령과 치안대・인민위원회 조직
2.2 우익인사 색출과 처형
2.3 토지개혁과 현물세제 수확고 조사
3. 인민군의 전쟁 동원과 유엔군 공습
4. 유엔군의 수복과 경찰의 부역자 처벌
4.1 유엔군의 성주 수복 직후 경찰의 부역자 집단학살
4.2 경찰의 부역자 검거와 처벌
5. 정치지형의 변동과 반공분단체제의 확립
부록. 경상북도 성주군 부역자 처벌 일람표(1950년)
제7장 1950년대 후반의 정치변동과 4월 혁명
1. 한국전쟁 이후 정치지형의 변동
2. 4월 혁명과 피학살자유족회 활동
결 론
자료 및 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