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청일전쟁을 둘러싼 역사 기억 - 나카츠카 아키라
·청일전쟁에 관한 일본인의 기억
·일본군의 첫 번째 공격이 왜 ‘조선 왕궁 점령’이었을까?
·도죠 히데노리(東條英教)의 「격벽청담」
·어느 대대장의 자살- 환영받지 못한 일본군
02. 동학농민전쟁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 나카츠카 아키라
·‘동학’이란 무엇인가
·조선에 대한 편견이 낳은 동학 사교관
·조선왕조 말기의 민중과 서양의 압력
·동학은 어떤 사상인가
·동학의 확산 - 잠행하는 포교에서 집단적 시위운동으로
·접과 포
·끓어오르는 농민의 대중운동
·동학농민전쟁의 전개
03. 일본군 최초의 제노사이드 작전 - 이노우에 가쓰오
·조선 전역에서 끓어오른 동학농민군의 재봉기
·가와카미 소로쿠의 “살육 명령” - 섬멸작전의 서곡
·섬멸작전과 대본영·섬멸대대에 대한 파견 명령
·연산의 전투현장-한일 공동조사에서
·남발되었던 섬멸 명령
·어느 일본군 병사의 「진중일지」에서
04. 동학농민전쟁의 역사를 걷는다 - 나카츠카 아키라
·역사의 현장에 서다
·비빔밥이 가장 맛있는 거리와 세계유산 지석묘
·‘사발통문’을 새긴 동학혁명 모의탑
·무장(茂長) - 동학농민혁명 발상지
·황토재 언덕
·무명동학농민군 위령탑의 충격
·삼례의 동학농민기념공원
·공주를 눈앞에 둔 대격전지 우금티
·지금도 계속되는 저항 - 연산
·보은 - 동학의 길
·장흥 - 두 개의 기념비
·나주 - 일본군 최후의 몰살 작전의 기지
·진도 - 두개골을 채집했던 장소
·대둔산 - 기록에 남아 있는 동학농민군 최후의 전투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이야기하는 것
05. 동학농민혁명과 현대한국 - 박맹수
·광주사건의 한가운데에서 군대에 있었던 나
·야학운동의 선두에서 배운 것
·민주화운동의 원점인 동학농민혁명
·현장 답사를 중심으로 연구 30년
·인골방치사건에서 시작한 한일공동연구
·풀뿌리 차원의 교류 발전
·현대에 살아있는 동학사상 ‘한살림운동’
·내일을 위한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