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론
1부. 유교적 공공성의 변화와 양상
조선조 국가제사의 종교적 복합성과 유교적 공공성의 한계
조선시대 왕권의 공공성과 궁부일체론의 전개
조선 후기 국제 공공성 변동과 홍대용의 문명생태주의
『경세유표』의 경로들-정약용의 국가 개혁론과 공공성
2부. 공공성 담론과 시선
이념의 공(公)에서 실행의 사(私)로
동아시아 모델의 전환: 중세화론과 진경문화
서양인이 본 조선의 공공성
3부. 일본의 공공성 담론과 공론 분석
도쿠가와 시대 전기의 공공을 둘러싼 윤리사상
일본에서의 초기 ‘공론’ 미디어- 『평론신문』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