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전란으로 읽는 조선 - 반란과 전쟁, 혁명이 바꾼 조선과 동아시아
저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글항아리
발행일
2016년02월
발행지역
판형
페이지
324
대분류
동학농민혁명의 성격
중분류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415

머리글_‘신화 만들기’의 기억 너머에서 진실과 마주하기
1장 왜, 이만주를 죽여야 했는가?_조선의 북방 정책과 여진 정벌
| 이규철 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장 이시애 반란 사건의 비밀_함길도 토호들은 왜 들고일어났을까
| 오종록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
3장 열탕과 온탕을 오가는 일본과의 교류_쓰시마 정벌과 삼포왜란
| 윤훈표 전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원
4장
임진왜란, 동부 유라시아 대륙 플레이어들의 각축전_열국지적 질서와 지정학적 요충지로서의 한반도
| 김시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5장 병자호란을 보는 새로운 시각_국제 패권들의 대결이 한반도에 미친 영향
| 한명기 명지대 사학과 교수
6장 오랑캐 러시아를 무찌른 정벌은 왜 상처가 되었나_나선 정벌의 경험과 그 기억의 전환
|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7장 “영조는 우리 국왕이 아니다!”_1728년 이인좌 세력의 무장 반란
| 정호훈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8장 평안도가 낳은 저항의 주체들_홍경래의 난과 조선 민본주의의 붕괴
| 오수창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9장 제국의 함포, 조선의 위기_프랑스와 미국의 조선 침공
| 윤대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10장 민초, 혁명을 말하다_동학농민혁명을 둘러싼 왜곡을 넘어
| 박맹수 원광대 원불교학과 교수
11장 “우리 나라 이익의 초점은 조선에 있다”_동아시아 패권질서의 재편과 청일전쟁
| 강상규 방송통신대 일본학과 교수
12장 신소설에 그려진 청일전쟁과 러일전쟁_『혈의 누』와 『절처봉생』을 중심으로
| 방민호 서울대 국문과 교수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