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전통문화의 이해 : 한국의 신종교문화(東學 · 天道 · 甑山 · 圓佛 · 大倧敎 편)
저자
차용준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전주대학교 출판부
발행일
2002년08월
발행지역
전주
판형
페이지
448
대분류
동학사상 일반
중분류
동학종교(천도교)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377

제1부 신종교 개관
제1장 신종교 개념상의 문제점과 발생원인
제1절 신종교 개념상의 문제점
제2절 신종교 발생원인 및 조건
제2장 신종교 발생의 세계적 양상과 한국 신종교의 양상 및 특징
제1절 신종교 발생의 세계적인 양상
제2절 한국 신종교의 발생 양상
제3절 한국 신종교의 특징
제2부 천도교(天道敎)
제1장 동학(東學)
제1절 동학 창도의 사회적 배경과 천도교의 과정
제2절 동학사상의 뿌리와 변천과정
제3절 동학의 교파
제2장 천도교 창도와 최제우, 최시형, 손병희의 생애
제1절 천도교의 창도
제2절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제3장 천도교의 경전과 교리
제1절 천도교의 경전
제2절 천도교의 교리
제4장 천도교(天道敎)의 기본사상
제1절 천도교(天道敎)의 천도사상(天道思想)
제2절 천도교의 유교중심적 3교 합일사상과 민족주체사상
제3절 천도교의 인본위(人本位) 사상과 사회개혁사상
제4절 천도교사상의 종합
제5장 천도교의 의식(儀式) · 수행(修行)과 조직
제1절 천도교의 의식 · 수행
제2절 천도교의 조직
제3부 증산교(甑山敎)
제1장 강증산(姜甑山)의 생애와 기본교의(基本敎義)
제1절 강증산의 생애
제2절 증산교(甑山敎)의 기본교의(基本敎義)
제2장 증산의 천지공사(天地公事) 이념과 분류 및 증산사상의 특징
제1절 증산의 천지공사(天地公事) 이념
제2절 천지공사(天地公事)의 분류
제3절 증산사상의 특징
제3장 해원상생사상(解寃相生思想)과 미래의 세계관
제1절 해원상생사상
제2절 미래의 세계관
제4부 원불교(圓佛敎)
제1장 원불교의 개창과 원불교사상 전개과정
제1절 원불교 개관
제2절 원불교(圓佛敎)의 개창과 불교(佛敎)와의 관계
제3절 원불교의 전개과정
제4절 소태산(少太山)의 자수자각(自修自覺) 과정
제5절 원불교 사상의 개요
제6절 원불교 사상의 전개과정
제7절 한밝이념을 통해 본 원불교사상
제2장 소태산(少太山)의 진리적 종교와 일원상(一圓相)의 진리
제1절 소태산(少太山)의 진리적 종교
제2절 일원상(一圓相)의 진리
제3장 사은신앙(四恩信仰)과 삼학수행(三學修行) 및 사요실천(四要實踐)
제1절 사은신앙(四恩信仰)의 5단계
제2절 삼학수행(三學修行)의 5단계
제3절 사요실천(四要實踐)
제4장 소태산의 병든 사회 진단과 사회개혁 방법
제1절 소태산의 병든 사회 진단
제2절 소태산의 사회개혁 방법
제5장 원불교의 일원상(一圓相) 사상과 보은 방법
제1절 종교에서의 상징성과 일원상의 사상
제2절 보은의 원리와 방법
제6장 원불교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제1절 일원상진리(一圓相眞理)의 3속성과 9범주
제2절 은(恩)의 존재성과 생성문제
제3절 3단전입(三段轉入)과 이(理) · 광(光) · 력(力)
제7장 원불교의 성전, 의식 · 수행 및 조직
제1절 원불교의 성전(聖典)
제2절 원불교의 의식 · 수행
제3절 원불교의 조직
제5부 대종교(大倧敎)
제1장 대종교의 유래와 교주 및 관련사건
제1절 대종교의 기원과 교명(敎名) 변화
제2절 대종교의 역대 도사교(都司敎) - 교주(敎主)
제3절 대종교 관련사건
제2장 대종교의 사상
제1절 대종교의 성립배경과 의미
제2절 대종교의 사상
제3장 대종교의 성전(聖典)
제1절 대종교의 성전개요와 성전간행 과정
제2절 삼일신고
제3절 천부경(天符經)
제4절 기타 성전(8리훈 · 신사기 · 신리대전 · 회삼경 · 삼법회통 · 신단실기)
제4장 대종교의 의식 · 수행
제1절 대종교의 의식
제2절 대종교의 수행
제5장 대종교의 교단과 조직
제1절 대종교의 교단(敎檀)
제2절 대종교의 조직
참고문헌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