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우리 교육학을 위하여
제1부 유ㆍ불ㆍ도 삼교 합일을 통한‘한울’이해
제1장 동학과 불교의‘공성(空性)’
1. 머리말
2. 동학의 한울님과 불교
3. 동학의 불연기연과 불교
4. 맺는 말
제2장 허응당 보우의‘인즉천’과 동학의‘인내천’
1. 머리말
2. 보우의 유불 결합적 인간 이해
3. 보우의 「일정론」과‘인즉천’의 인간관
4. 보우의‘인즉천’과 동학의‘인내천’
5. 맺는 말 :‘심즉천’의 사상적 의의
제3장 동학 의례와‘수심정기’의 유ㆍ불ㆍ도 삼교적 이해
1. 머리말
2. 동학 의례의 성립과 오관 의식
3. 동학 의례의 유ㆍ불적 이해
4. 맺는 말
제2부 동학의‘한울’교육사상
제4장 동학사상의 탈근대성과‘한울’의 교육철학
1. 머리말
2. 개전일치의 세계관과 탈근대성: 시천주
3. 주객일치의 탈근대성:‘심즉천’
4. 심신일여의 통전성과 탈근대성
5. 동학사상과 탈근대적 교육철학
6. 맺는 말
제5장 동학의 종교경험과‘한울섬김’의 자기 교육
1. 머리말
2. 동학의 종교경험과 신관 이해
3. 동학과‘한울섬김’의 교육
4. 맺는 말
제6장 소파 방정환의 한울 교육사상
1. 머리말
2. 유교 전통으로부터의 아동 해방과 수운주의 아동관
3. 아동의 성장과 교육의 방법
4. John Dewey와의 비교
5. 맺는 말
제7장 동학의 양성적 인간관과 여성 교육
1. 머리말
2. 성 차별의 기원과 양성적 인간관의 전통
3. 천도교의 양성평등적 인간관과 여성운동론
4. 맺는 말
제3부 한울 교육으로 만들어가는 통일문화 세상
제8장 갑진혁신운동의 사상적 의의
1. 머리말
2. 동도변혁에 기초한 주체적 문명개화
3. 민회 설립을 통한 민력의 신장과 독립 기초의 공고화
4. 교정일치로서의 갑진혁신운동
5. 맺는 말
제9장 남북 공유의 전통 사유와 통일문화교육
1. 머리말
2. 민족과 통일문화교육
3. 남북이 공유하는 전통 사유로서의 혜강 최한기의 인식론
4. 결론: 통일문화교육의 전망
제10장 동학과 주체사상
1. 머리말
2. 김일성과 동학ㆍ천도교
3. 주체사상의 이해
4. 동학과 주체사상의 비교
5. 탈분단시대의 남북 공유 가능한 교육 이념으로서의 통합적 인간
6. 맺는 말
제11장 북한 집단주의 교육과 J. Dewey의 개인주의 교육 비교
1. 머리말
2. 근대교육의 성격과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적 전통
3. 듀이의 개인주의 교육과 근대성
4. 북한의 집단주의 교육과 근대성
5. 북한 집단주의 교육과 J. Dewey 개인주의 교육의 근대성과 사고교육 비교
6. 맺는 말
제12장 동학 사유와 통일문화교육의 이념적 기초
1. 머리말
2. 동학 사유와 민족성의 교육
3. 통일교육의 문화적 접근
4. 동학 사유를 통해서 본 통일문화교육의 이념적 기초
5. 통일문화교육의 이념과 북한 문화 이해
6. 맺는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