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가. 연구범위
나. 연구방법
3. 연구 구성도
Ⅱ. 이론적 배경
1. 기억이론
가. 모리스 알브박스의 집단기억
나. 얀 아스만과 알레이다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다.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장소
2. 장흥동학농민혁명
가. 장흥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
나. 장흥동학농민혁명의 집단기억
3. 선행연구의 고찰
가. 장흥동학농민혁명의 연구
나. 기억과 기억의 장소 연구
4. 분석틀
Ⅲ. 장흥동학농민혁명 기억의 장소
1. 기억의 장소로서 장흥동학농민혁명
2. 교차로로서 기억의 장소 분석
가. 역사적 차원의 기억의 장소
나. 민속지학적 차원의 기억의 장소
다. 심리학적 차원의 기억의 장소
라. 정치적 차원의 기억의 장소
마. 문화적 차원의 기억의 장소
3. 기억의 장소의 유형
가. 물리적 장소
나. 상징적 장소
다. 기능적 장소
4. 기억의 장소의 활용방안-문화적 기억 만들기
가. 사례분석
나. 기억의 장소 활용방안
Ⅳ. 결론 및 제언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