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동기와 목적
2. 전개과정과 방법
Ⅱ. 동학 생명사상에 대한 신학적 접근
1. 삶의 자리-한국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1) 한국에서-삼풍백화점 참사와 한국인의 종교성
2) 그리스도인으로-‘전통’과 ‘복음’
3) 살아간다는 것은-세계를 향한 교회의 사명
2. 동학의 역사와 문법
1) 동학의 사상사적 의미
2) 동학의 문법-불연기연 이야기
(1) ‘두서너 시간’을 알아들을 수 있는 마음
(2) 동학 읽기의 전제-수운의 불연기연론
(3) 살아있는 ‘이야기’의 가능성
3. 동학의 하느님 사상
1) 과학기술혁명과 하느님
2) 동학의 하느님 사상
3) 동학의 하느님 사상에 비추어 본 그리스도교 신 이해 전망
4. 동학의 자연사상-우주 한 생명적 연대성
1) 점진적 자살, 그 생태위기 실상
2) 자연은 인간의 정복대상인가?
3) 동양 자연관의 특징
4) 동학의 자연관
5) 생명있는 자연의 형제들이 되기 위한 전환
5. 동학 인간관-하느님을 모시는 인간
1) 차가운 인간-‘경쟁’의 노예
2) 동학의 인간관
3) 다시, 인간이란 무엇인가?
Ⅲ. 맺음말: 생명이신 그리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