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방법 및 구성
Ⅱ. 한국의 고유사상
1. 고유사상의 특질
2. 고유사상 실체에 관한 논의들
3. 풍류도(風流道)의 새로운 이해
Ⅲ. 고유사상과 유불도의 시대별 전개양상
1. 삼국시대의 고유사상과 유불도
1) 삼국의 무교(巫敎)
2) 풍류도의 내력
3) 삼교의 전래와 토착화
2. 고려시대의 고유사상과 유불도
1) 무교의 유행과 그 비판
2) 팔관회(八關會)의 전통과 선풍숭상(仙風崇尙)
3) 종교 다원주의와 삼교공존론
3. 조선시대의 고유사상과 유불도
1) 조선의 무교정책과 그 신앙
2) 제천(祭天)의 중지와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
3) 배불론(排佛論)과 삼교회통론
Ⅳ. 동학에 나타난 고유사상과 외래사상
1. 고유사상 부활의 배경
1) 시대적 요인: 내우외환(內憂外患)
2) 종교적 요인: 경천(敬天)의 전통
3) 문화적 요인: 신라문화
2. 동학에 계승된 고유사상
1) 환웅의 개벽관 계승
2) 선교(仙敎)의 계승
3) 삼칠관념(三七觀念)의 계승
4) 가무(歌舞)의 전통 계승
5) 풍류도의 특성 계승
3. 동학과 외래사상의 관계
1) 유교와 동학
2) 불교와 동학
3) 도교와 동학
4) 서학과 동학
Ⅴ. 동학의 고유성에서 찾아 본 도덕교육의 방향
1. 정체성 교육
2. 인본주의
3. 공동체의식
4. 환경윤리의식
Ⅵ. 결 론
1. 요약 및 정리
2. 향후 과제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