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우리나라 경찰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 갑오개혁 이후 미군정까지
저자
정태정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동의대 대학원(석사 경찰행정학전공)
발행일
2013년02월
발행지역
부산
판형
페이지
93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갑오개혁
구분
학위논문
목 차ID : prb_0003_0105

Ⅰ. 서론(序論)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Ⅱ. 우리나라 경찰형성의 이론적 배경
제1절 경찰개념의 형성과정
1. 경찰의 어원
2. 경찰의 기원과 출현
3. 경찰개념의 역사적 변천
4. 경찰의 개념정립
5. 실질적 의미의 경찰과 형식적 의미의 경찰
제2절 경찰의 지도이념(指導理念)
1. 경찰민주주의(警察民主主義)
2. 법치주의(法治主義)
3. 인권존중주의(人權尊重主義)
4. 정치적 중립주의(政治的 中立主義)
5. 경영주의(經營主義)
제3절 근대(近代) 경찰의 형성
1. 근대(近代)와 근대경찰의 의의
2. 시대구분에 관한 고찰
3. 근대 일본경찰의 형성과 특징
Ⅲ. 우리나라 경찰형성과정과 시대적 특징
제1절 전(前) 근대 경찰
1. 고려시대(高麗時代)의 경찰제도
2. 조선시대(朝鮮時代)의 경찰제도
제2절 갑오개혁(甲午改革)부터 한일합방(韓日合邦) 이전까지
1. 의 의
2. 경무청(警務廳) 시대
3. 경부(警部) 독립 경찰시대
4. 경부경찰체제의 좌절과 신경무청
5. 소경무청(小警務廳)시대
6. 을사조약과 한국경찰권의 상실
제3절 일제강점기의 경찰
1. 무단통치기(武斷統治期)의 헌병경찰제
2. 3․1운동 이후 보통경찰제(普通警察制)
3. 일제하 경찰제도의 특수성(特殊性)
제4절 임시정부(臨時政府) 하의 경찰
1. 초기의 경찰제도
2. 말기의 경찰제도
제5절 미군정하의 경찰
1. 경 과
2. 치안제도의 변천과 미군정 경찰의 역할
Ⅳ. 결론(結論) 및 향후과제
1. 향후과제 및 발전방안
2. 결론(結論)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