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Ⅱ. 개항 이후 정부의 근대화 정책
1. 개항에 따른 개혁의 갈등
2. 갑오개혁과 근대화의 양면성
3. 광무 개혁기의 대한국국제의 실체
Ⅲ. 교육이념의 형성
1. 동도서기론의 대두
2. 동도서기론의 집행
3. 국민교육 이념의 등장
Ⅳ. 학제의 제정
1. 개혁주도세력과 정부의 신교육 구상
2. 갑오교육개혁과 근대학제
3. 광무 개혁기 신학제의 의의
Ⅴ. 교육과정과 학교의 운영
1. 교과 편제와 교과서 정책
2. 학교의 설립과 운영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