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문제제기
2. 논문의 구성
제1장 갑오개혁이전의 치안기구와 경찰구상
1. 조선왕조의 치안기구
1) 중앙의 치안기구
2) 지방의 치안기구
3) 19세기말 치안질서의 양상
2. 개화파의 경찰개혁 구상
1) 일본식 경찰제도의 소개와 개혁시도
2) 급진개화파의 경찰구상
3) 유길준의 경찰구상
제2장 갑오개혁기 경찰제도 개혁
1. 경무청의 탄생
2. 일본에 의한 개입의 개시
3. 정부내의 대립과 경무청
4. 경무청의 변모
1) 경찰조직의 정비와 확대
2) 경찰권력의 강화과 광범화
3) 경찰업무의 철저화
4) 지방경찰제도
5. 경무청의 기능의 양상
1) 제2차 갑오개혁기
2) 제3차 갑오개혁기
3) 제4차 갑오개혁기
제3장 경찰과 민중
1. 경찰제도의 변화에 대한 반응
1) 반일감정과 경찰인식의 결합
2) 경찰 주도의 개화정책에 대한 반발
·도시환경의 정비에 대한 반발
·전염병의 예방과 대책에 대한 반발
·구습타파에 대한 반발
3) 말단 경찰관리들의 반응
4) 단발령으로 인한 분노의 폭발
2. 지방경찰제도에 대한 지방사회의 반응
1) 지방경찰제도에 대한 반발의 양상
2) 경찰제도를 둘러싼 공방-함경도지역의 사례
· 사례①-함흥부·갑산부의 경우
· 사례②-경성부의 경우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