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午改革의 理念的 基礎에 관한 연구 : 軍國機務處 官制改革案과 改革理念의 聯關性 究明을 中心으로
저자
권정호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 사학전공)
발행일
1993년08월
발행지역
성남
판형
페이지
199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갑오개혁
구분
학위논문
목 차ID : prb_0003_0082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대상과 범위
제3절 연구방법과 분석의 시각
제2장 역사적 배경과 개혁의 추진과정
제1절 역사적 배경
제1항 열강의 침투와 사회적 동요의 심화
제2항 전통적 세계관의 동요와 근대적 역사의식의 대두
제3항 조선조 관료제의 문제점과 제도개혁의 긴박성
제2절 개혁의 추진과정
제1항 민씨정권의 타도와 개혁정권의 수립
제2항 국군기무처의 성격과 개혁의 추진방법
제3장 개혁주도세력의 사상적 연원과 주요 계파별 이념성향
제1절 개혁주도세력의 사상적 연원
제1항 조선조 제도개혁사상의 연원과 그 흐름
제2항 근대적 제도 개혁사상의 등장과 개화 불가피론의 확산
제3항 개혁주도세력의 이념적 분포와 그 특성
제2절 주요 계파별 이념성향
제1항 김홍집 중심의 실무 개화관료들의 개혁사상
제2항 김윤식 중심의 도학파 연원의 개혁사상
제3항 유길준 중심의 서구 지향적 근대화 이념
제4장 관제개혁안의 구성원리와 내용별 성향분석
제1절 관제개혁안의 구성원리
제2절 내용구조와 그 성향분석
제1항 권력구조 : 제한군주제와 이원적 권력구조
제2항 정부조직 : 부성제에 의한 근대적 관료체제
제3항 정책수단 : 과거제의 폐지와 재정의 단일화
제5장 관제개혁안과 개혁이념의 연관성 검토
제1절 권력구조 : 제한군주제에 근거한 잠정적 합의
제2절 정부조직 : 근대적 관료체제의 형식적 도입
제3절 정책수단 : 천거제와 화폐개혁의 실현
제6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