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東學農民運動硏究
저자
張泳敏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韓國精神文化硏究院 (박사 사학전공)
발행일
1994년
발행지역
성남
판형
페이지
407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동학농민혁명 전반
구분
학위논문
목 차ID : prb_0003_0063

緖論
제1장 東學의 發生과 性格
1. 東學 發生의 歷史的 背景
1) 양반지배체제의 파탄
2) 사회경제적 변화
3) 자연재해와 질병
4) 외세의 침입
2. 朝鮮後期의 民衆信仰運動
1) 민중신앙 발생의 종교문화적 기반
2) 『鄭鑑錄 』類의 圖識과 秘記
3) 眞人 出現設
3. 東學 經典의 검토
4. 東學의 敎理
1) 神觀
2) 人間觀
3) 後天開闢
제2장 寧海民亂
1. 民亂의 背景
1) 초기동학의 교도와 조직
2) 향촌사회의 신분상승운동
2. 民亂의 計劃과 經過
3. 民亂의 性格
제3장 敎祖伸寃運動
1. 1890년대 初盤의 敎勢 擴大
2. 東學의 變化
3. 伸寃運動의 展開
제4장 古阜民亂
1. 沙鉢文書의 검토
2. 民亂의 展開와 그 樣相의 特徵
1) 民亂의 발생과 東學敎徒의 참가
2) 民亂의 지속성과 指導勢力의 목표
3) 民亂의 해산
3. 民亂의 原因과 性格
1) 民亂의 原因
2) 指導勢力의 역할과 民亂의 성격
제5장 東學農民戰爭
1. 東學農民戰爭의 原因
2. 제1차 東學農民戰爭
1) 全羅道 東學의 起包
2) 忠淸道·慶尙道 東學의 起包
3) 全州撤收
3. 제2차 東學農民戰爭
1) 제2차 東學農民戰爭의 原因
2) 제2차 東學農民戰爭의 展開
4. 東學農民戰爭의 性格
1) 反中世·反侵略 鬪爭
2) 宗敎的 性格
結論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