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최현식과 동학농민혁명사 연구 :이 시대의 마지막 동학군 최현식 선생 일대기
저자
최현식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갈채
발행일
2006년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319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동학농민혁명 전반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168

1. 식민지 소년의 어린 시절
내고향-고창 아산
증조부와 아버지
평생을 함께 한 친구, 바둑
보통학교에서 보낸 소년시절
일본유학을 권하던 교장
결혼
일본유학을 결심하다
관부연락선을 타고
허망하게 끝난 일본유학
징용을 피해 도망가다
2. 광복, 뒤이어진 전쟁
숯막에서 광복을 맞다
건준에 참여하다
건준의 분열과 인공의 탄생
서울에서 느낀 것들
높아가는 전쟁의 기운
전쟁과 정읍 이주
3. 정읍 사람이 되는 일
언론인이 되다
「전봉준 실기」와의 만남
손화중의 아들, 손응수옹을 만나다
자유당정권의 종말 - 4.19 혁명
4. 시련과 고난의 세월
언제나 춥고 허기지고
쿠데타 세력에게 체포되다
유치장에서 보낸 한 철
야인생활 1
야인생활 2
갑오동학혁명기념탑을 세우다
5. 동학군의 후예가 되는 길
역사는 술자리에서 이루어진다
천도교 최덕신 교령과의 만남
이선근ㆍ김상기 박사를 만나서
순조롭게 진행된 첫 번째 사업
제1회 동학혁명기념문화제
6. 등불에 의지해 어둠을 더듬던 시절
『전북일보』 지사장이 되다
동학군 지도자들의 가족을 찾아서
정읍의 사적을 지켜내다
짙어가는 독재의 그림자
『동학란 기록』과의 만남
국사편찬위원회 방문
7. 발로 쓴 『갑오동학혁명사』
세성산을 답사하다
발로 찾아낸 전적지들
발로 쓴 『갑오동학혁명사』
김대중을 초청하다
8. 황혼녘의 아름다움에 대하여
기념사업회의 해산
정읍의 지명을 찾아서
황토현 현창(顯彰) 사업을 하다
「금성정의록」과 만나다
정읍문화원을 짓다
「수제천」을 연주한다
영학계 사건을 재조정하며
기념사업회를 다시 만들다
부록 : 논문과 비문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