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ID : prb_0001_0153
제1장 여명: 지는 해[망국의 길]와 떠오르는 해[고난의 길]
1. 조선, 농경시대, 성리학, 왕조 체제
2. 공노비 혁파
3. 천주교의 전래와 박해
4. 지배계급의 탐학과 부패
5. 평안도민의 민중봉기[홍경래와 주위 인물들]
6. 천주교의 정착
제2장 사상의 보고
1. 사상의 대립
1) 성리학, 이념의 고착
2) 천주교의 인내와 끈기[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의 활동]
2. 학문의 변화
1)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2)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
3. 이념의 변화와 혁명의 불씨
1) 개화파의 태동[오경석과 박규수]
2) 동학의 창건
3) 군웅활거 시기[잠룡들의 의식 형성]
4) 1862년 임술 민중봉기
제3장 대원군의 일장춘몽
1. 대원군의 등장
1) 내정개혁
2) 서원 철폐와 유림의 저항
3) 삼정의 개혁
4) 경복궁 중건
5) 천주교의 박해와 병인양요
6) 신미양요
2. 잠룡들의 활동
3. 난세의 인물과 동학
4. 개화파의 형성
제4장 개화의 시련
1. 고종의 집권과 강화도 조약
2. 위정척사파의 활동[유림의 저항]
3. 서구 제국과의 통상 조약
4. 임오 군민봉기[신분제는 다시 무너지고]
5.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
6. 동학과 천주교의 잠행
제5장 인간의 평등과 부국의 꿈
1. 갑신정변
1) 정변의 과정
2) 혁신 정강정책 14개조
3) 실패 이유
4) 역사적 의의
2. 수구파 정권과 청, 일의 경제적 침투
3. 개신교 수용과 동학 및 천주교의 활동
4. 계속되는 민중의 항쟁
제6장 동학민중혁명과 인권의 승리
1. 교조신원운동
2. 고부의 민중봉기
3. 제1차 동학민중혁명
4. 폐정개혁안과 집강소執綱所의 출현
5. 동학의 조직과 집강소執綱所 설치
6. 제2차 동학민중혁명
7. 동학민중혁명의 역사적 의의
제7장 조선의 몰락과 유교문화의 쇠퇴
1. 갑오개혁 전 정국
2. 제1차 갑오개혁[1894년 6월 25일-11월 21일까지]
3. 제2차 갑오개혁
4. 을미사변
5. 아관파천
6. 을미 의병
제8장 근대국가 이념과 민족정신 형성
1. 서재필의 귀국과 국내외 정세
1) 서재필의 귀국
2) 국내외 정세
2. 근대국가 이념의 정착화[1896년 4월 7일-1897년 2월 20일까지]
1) 《독립신문》
2) 독립협회 창립
3. 근대국가제도의 정착화[1897년 2월 21일-1898년 2월 20일까지] [정부와 사법의 분리·정착화]
4. 독립협회의 의회 설립운동
5. 근대이념 승화시켜-민족정신으로
1) 서재필은 무엇을 남겼나
2) 민족정신 함양
제9장 대한제국 성립
1. 국내 정세
2. 대한제국의 성격과 정부정책
1) 대한제국의 성격
2) 정부의 정책
3. 독립협회 해산 후 지방으로 확산되는 민중 활동
4. 국제 정세[러일전쟁]와 을사조약
5. 고종의 저항과 군대 해산
제10장 민족정신 발현
1. 서론
2. 유림 세력들의 의병항쟁
1) 강원, 충북지역의 의병항쟁
2) 호서(충남)지역의 의병항쟁
3) 전기 호남지역의 의병항쟁
4) 영남지역의 의병항쟁
5) 의병항쟁의 확산
6) 그 밖의 의병
7) 후기 호남 지역의 의병항쟁
8) 중, 북부지역의 의병
3. 애국계몽운동
4. 근대 이념에 의한 극일항전
1)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2) 정명운, 장인환의 저격
3) 안중근, 이토 처단
4) 계몽운동의 확장
5) 언론과 출판
6) 국채보상운동
5. 무단정치
6. 무단 통치 시기 극일항전[1910년대]
1) 대한 독립 의군부
2) 대한광복회
3) 대동청년단
4) 조선국민회
제11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 3·1독립운동[극일항전]의 배경
2. 3·1독립선언서
1) 독립선언서
3. 3·1운동의 전국적 시위와 봉기
4.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 일부 학자들의 역사관
2) 글쓴이의 견해
5. 극일항전의 표상[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1) 봉오동 전투
2) 청산리 대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