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연구동향
제1장 한국근대 민중운동 연구의 동향
제2장 동학과 농민전쟁 연구의 원형
제2부 농민전쟁의 전개 · 주체 · 지향
제3장 1862년 진주농민항쟁의 연구
제4장 1894년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변혁주체의 성장
제5장 1894년 농민전쟁의 지도부와 서장옥
제6장 1894년 농민전쟁의 토지개혁 방향
제7장 1894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과 역사소설
제3부 농민전쟁의 계승
제8장 개화파 정부의 농민전쟁 수습대책
제9장 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과 민족운동
제10장 대한제국시기 영학당(英學黨) 운동의 성격
제11장 농민전쟁 이후 농민운동조직의 동향
제4부 동학과 농민
제12장 근대민중운동사 상의 동학과 농민 - 대전지역 사례
제13장 동학 · 농민의 일본인식과 ‘보국안민(輔國安民)’ 이념
저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