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1백년 시간 속의 동학여행
저자
이봉환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은율
발행일
1994년03월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310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동학농민혁명 전반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138

제 1부 영혼을 불러, 1백년 전의 그 길을 함께
1. 아, 아픈 시대를 사랑했던 전봉준
2. 말목장터, 만석보, 황토현
제 2부 자취없어 서러운 그들을 어디서 찾을까
1. 김개남이 태어난 정읍군 윗지금실
2. 수저 대신 들었던 죽창
제 3부 건장한 체구에 조용한 눈빛의 인물, 손화중
1. 손화중과 전봉준의 만남
2. 선운사 석불 비결록
제 4부 인즉천 - 사람이 곧 하늘이라
1. ‘최제우라 했능교’
2. 동에서 발생하여 배우니 동학이라
제 5부 앉으면 죽산이요, 서면 백산이로다
1. 고부에서 백산으로
2. 송대화와 사발통문
제 6부 세상은 찾아가는 사람에게 열린다
1. 흥덕, 무장의 관아를 휩쓸다
2. 영광, 법성포, 함평으로 남하하는 농민군
제 7부 당신은 무엇을 그토록 생각하고 계십니까
1. 용머리 고개를 넘어 진주성으로
2. 풍남문 높은 곳에 깃발을 꽂고
제 8부 그들의 사랑이 핀 유연대의 하얀꽃
1. 농민군 전주화약(和約)을 맺다
2. 농민군 지방통치
제 9부 나주 목사 민종렬의 기개는 내가 꺾겠소
1. 끝내 점령하지 못한 나주성
2. 나는 전봉준이다. 어서 문을 열어라
제 10부 성춘향과 이도령의 사랑만이 사랑이더냐
1. 남원에서의 김개남
2. 김개남의 동학 농민군 주둔지 ‘교룡산성’
제 11부 남도에서 풋개까지 달 마중와서 피었나
1. 위봉사와 삼례를 거쳐
2. 그대여, 무엇을 더 바랄게 있으랴
제 12부 패배한 싸움, 지고한 그대의 영원한 사랑
1. 논산, 노성을 거쳐 경천에 이르다
2. 우금치를 넘어 공주성으로
3. 보은과 청주성, 그리고 화양동 계곡의 추억
제 13부 그렇게 쉬이 사라질 사랑은 아니어라
1. 금강과 곰나루 가는 길
2. 논산의 황희대와 원평의 구미란
3. 신흥 종교의 발상지 금산사
제 14부 석대들에게는 최후라는 비극은 없다
1. 월출산에 대한 새로운 느낌과 추억
2. 벽사역과 장녕성의 공반전
3. 강진현과 강진 병영도 추풍 낙엽
제 15부 죽는 것은 떳떳하나 한이 맺혀 못가겠네
1. 낙안 읍성과 순천부, 그리고 광야의 빙고동
2. 하동, 진주 등 경상남도 남해안 지역
제 16부 나라 위한 일편단심 그 누가 알리오
1. 전봉준, 부하의 밀고로 순창 피노리서 잡히다
2. 김개남의 치열한 삶과 의연한 죽음
3. 손화중, ‘나를 고발하라’
4. 김덕명과 최경선의 최후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