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연구논저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東學革命史論
저자
李炫熙
편자
역자
게재지
발행처
大光書林
발행일
1994년07월
발행지역
서울
판형
페이지
530
대분류
동학농민혁명 일반
중분류
동학농민혁명 전반
구분
단행본
목 차ID : prb_0001_0104

서장-東學革命 100年과 歷史學의 課題
제1장 동학사상의 태동
1) 동학사상 배태의 역사적 배경
2) 수운의 출자와 구원의식
3) 동학의 인식과 개벽사상
4) 시천주의 기본사상
5) 민중구원의 성과
제2장 동학혁명의 의의와 이론정립
1) 혁명의 당위성
2) 민족주의의 사상과 혁명의 당위성
3) 혁명의 역사적 의의
제3장 프랑스 혁명과의 비교
1) 혁명전야의 한국과 프랑스
2) 양국 혁명의 전개
3) 시민혁명의 시각
제4장 혁명에 관한 외국의 반응
1) 교도의 대외관
2) 청국의 정책
3) 일본의 정책
4) 오늘의 과제
제5장 개화기의 인물과 사상
1) 비망록의 제시
2) 개화의 의미
3) 개화의식의 성장과 그 사상
4) 개화와 독립사상의 맥락
5) 개화기 인물의 기여
제6장 갑진개화혁신운동의 민중사적 위치
1) 개혁의 구상
2) 손병희의 개화혁신운동 구상
3) 망명과 개혁의 추진
4) 진보회의 결성과 개화운동
5) 개화혁신운동의 진행과 성격
6) 친일파의 축출과 개화운동의 의미
7) 동학의 개혁정신구현
제7장 동학사상과 민족독립사상
1) 1860년대의 의미
2) 동학사상에서의 자립의지
3) 묵암의 민족독립사상
4) 천도교와 항일독립사상
5) 의암의 민족구국사상
6) 동학사상과 독립사상의 맥락
제8장 동학혁명과 민족운동
1) 동학혁명의 요인과 민족운동
2) 동학혁명군의 민족의식
3) 동학혁명의 개념과 민족운동의 맥락
4) 민중혁명의 제시
제9장 3 · 1혁명과 임시정부의 수립
1) 국권피탈과 광복의지
2) 민중혁명의 계획
3) 3 · 1혁명의 전개
4) 천도교의 임정수립시말
제10장 동학사상이 한국여성의 근대화에 미친 영향
1) 인간평등사상
2) 수운사상에 나타난 여권사상
3) 해월의 여성 개화운동 전개
4) 동학에 의한 여성 개화운동의 의의
5) 남녀평등의 사상정립
제11장 1920년대의 의미와 신문화운동
1) 민족운동의 특성
2) 일제응징의 방법
3) 민족대학의 이념
4) 경제자립의 목적
5) 민족주의 이념의 새 좌표
6) 민족계 운동의 한계성
7) 민족운동과 천도교인의 참여
8) 천도교의 신문화운동
제12장 멸왜기도(滅倭祈禱) 운동
1) 인류구원의 동학사상
2) 1930년대 천도교의 민족운동
3) 멸왜기도와 천도교인의 민족의식
4) 멸왜기도운동의 실천
5) 천도교인의 구국정신
6) 멸왜정신과 천도교
제13장 민족통일운동의 역사성
1) 동학혁명운동과 통일의 의지
2) 갑진개화혁신운동의 통일사적 의미
3) 남북분단기의 통일노력
제14장 동학 100년의 민족사적 시각
1) 동학 100년, 오늘의 시각
2) 동학 1백주년이 주는 의미
3) 사회개혁의 추진과 반응
4) 동학은 사회개혁의 소중한 에너지
5) 국내외 정세와 우리의 당면과제
책 마무리
색인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