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발간 자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제목

동학농민혁명 신국역총서 15 국역총서
  • 2023-09-08 16:46
  • 조회 717

본문 내용

차례

 

 

발간사4

일러두기6

해제21

 

갑오조선내란시말 국역원문

폭민 봉기의 원인 51 411

동학당의 실력 53 412

동학당의 근거 54 413

지방관의 도주 55 414

동학당의 선언 56 415

동학당의 군기(軍旗) 59 417

동학당의 무기 60 418

전라도의 동학당 61 419

여산(礪山)의 전투 상황 63 420

백산(白山)의 교전 63 421

정토군(征討軍)의 출발 64 421

조선 조정[韓廷]의 공황(恐慌) 65 422

전주 영장(營將)의 내응(內應) 66 423

이경호(李景鎬)의 전사 67 424

 

전라도 수괴의 명령 68 425

동학당의 민망(民望) 68 425

화약고가 불에 탐 69 426

목사 일가의 조난 70 426

김옥균의 잔당 70 427

동학당, 소와 말을 약탈하다 70 427

공미(貢米)가 동학당의 소유가 되다 71 427

정토군(征討軍)의 상륙 72 428

동학당, 제방을 터뜨리다 72 429

추토군의 탈주 72 429

전라도 전주 73 430

국왕전하의 교시 74 430

이경호(李景鎬)의 증관(贈官) 75 431

김세풍(金世豐)의 아들과 조카가 적에 투항하다 75 431

전라감사의 적 상황 보고 76 432

적 포로의 큰 기염 77 433

조선 조정의 미봉책 78 434

초토사의 급보 79 434

초토사가 양공(陽攻)을 시도하다 79 434

전라도 감사의 근심 79 435

편장(褊將)의 행방불명 80 435

경군(京軍)의 담한(膽寒) 80 435

적도(賊徒), 병사를 훈련함 80 436

영관(領官) 이하의 사망자 80 436

초토사의 급한 청, 원세록의 무사함 81 436

영광군(靈光郡)의 적세(賊勢) 81 437

동학당의 한 부대가 영광성에 농성하려 하다 82 437

순창부사의 서한 82 437

외국 군대를 빌리는 망의(妄意) 84 439

원군(援軍)의 출발 85 439

전주의 함락 85 440

장성의 전황 86 441

경상도의 동학당 87 442

충청, 평안 양도의 동학당 88 443

정토(征討) 착수 89 444

동도(東徒)의 총기 90 444

동서의 호응 90 444

관군 소수 90 445

세력이 점차 창궐 91 445

관리 도주 91 445

총검 약탈 91 445

동학당, 유동(幼童)을 위무하여 군기를 크게 진작하다 91 445

순변사(巡邊使)와 염찰사(廉察使)의 출발 92 446

국왕전하, 종묘의 땅을 생각하다 93 447

경성의 군대 94 447

현임 당상관(堂上官) 94 448

경성의 사채(四寨) 96 449

경성의 무기 및 탄약 96 450

행상이 갑자기 병사로 변하다 96 450

몰래 소총 탄약을 주다 97 450

아산(牙山)의 지리 97 451

파견 청군의 실제 수 98 452

이조(李朝) 5백 년의 난 99 452

요란휘보(擾亂彙報) 101 455

전주성 안에 병사 한 명 없다 101 455

초토사와 감영 102 455

국왕의 역린 102 455

중국 쌀의 수입 102 455

조선 조정의 내정(內情) 102 456

순변사(巡邊使) 이원회(李元會) 103 456

망국의 역신 104 457

목멱산의 봉화 104 457

국왕의 피난지 105 458

조선 조정의 미봉(瀰縫) 105 458

형세 조금 절박 106 459

조선의 위기 106 459

 

 

 

천우협

천우협(天佑俠) 113 465

중원에서 패권을 다시 다투니 붓을 던지고

싸움터로 나서다 117 466

부산 대본영의 동정 126 473

자산수명각(紫山水明閣)의 회의 127 474

두 명의 박(), 산길로 동학당 사정을 탐색하다 128 475

요시쿠라(吉倉) 먼저 출발할 결심 129 476

두 사람의 선발 130 477

본대(本隊) 수로와 육로로 동시에 진행하다 132 478

김산(金山) 습격의 논의를 정하다 134 479

김산 야습(夜襲)의 실정 134 480

화약을 나누어 가짐 139 484

유례가 없는 야간행 기책(奇策) 140 485

함안(咸安) 객사에서 한 명의 장부를 만나다 143 487

폭탄의 시험 145 489

들판의 작은 전투 146 490

야만인에 대한 결심 148 491

자자손손 일본에 무례를 가하지 않겠다 148 492

진주성의 형세 150 493

천우협의 깃발이 처음으로 진주성 앞에 펄럭이다 152 495

병사의 행진을 시끄럽게 하다 152 495

조선인 관리를 질책하여 물리치다 153 496

말을 줄지어 타고 포도아문으로 가다 154 497

침착하게 포성 아래를 가볍게 달리다 155 498

위기일발 속에서 기책을 마련하다 156 499

우레와 같은 포탄 한 발이

성에 가득한 사민(士民)을 놀라 죽게 하다 158 500

유유하게 진주성을 나가다 160 501

남강 부두의 풍광 161 502

산림과 하류(河流) 162 503

밤에 낡은 정자에서 숙박하고 어둠 속에 강을 건너다 162 504

마을의 폭민(暴民)을 물리치고

강변의 나쁜 마부를 응징하다 165 506

들판의 작은 잔치 167 507

삼사(三士)의 용기가 산청(山淸)의 태수를 복속시키다 168 509

수촌(水村) 잉어를 구해 배불리 먹다 171 511

산빛이 곱고 강물이

맑은 시골에서 유랑하는 미인을 보다 172 512

호랑이가 사는 지리산의 신령한 장소 174 513

영담(靈潭)에서 목욕하고

행군의 피로를 깨끗이 씻어 버리다 175 514

팔도 제일의 음료수 177 515

농사는 천하의 대본(大本)이다 177 516

운봉성(雲峰城) 유수(留守)의 환영 178 517

정왜대총독(征倭大總督)의 비를 깨부수려 하다 179 517

병자가 소변을 마시다 180 519

 

버드나무 둑에서 참외를 잘라 탁주를 마시다 181 519

남원성 아래에서 천우협의 활동 183 520

부사(府使) 아문에서

양사(兩士)가 관인(官人)을 설파하다 183 521

경필(警蹕) 소리 속에 제후의 태도를 취하다 185 523

광한루의 첫날 밤 186 524

관리가 밤에 진귀한 술을 가지고 오다 188 525

광한루의 제2 189 526

영주각(瀛州閣) 위에서 삼사가 급히 격문을 기초하다 191 528

영웅이 큰비를 뚫고 당군(黨軍)을 두드리다 192 529

입당전권사(入黨全權使)의 선정 194 530

전권사의 유언(留言) 195 531

당사(黨使)가 삼사(三士)를 안내하다 196 532

삼사(三士)가 침착하게 시위군 앞을 지나가다 197 533

대장은 어디에 있는가 198 534

() 총독 앞에서 우격(羽檄)을 읽다 200 535

격문의 주요 내용 201 536

삼사(三士), 크게 전() 총독과 담판하다 207 541

의가 없다면 비록

살아 있다 하더라도 무엇을 하겠는가 208 542

() 총독, 크게 삼사를 대접하다 209 543

동학당 속의 첫 번째 일본인 210 544

천우협이 동학당의 진영으로 옮기다 211 545

 

전봉준과의 정식 첫 대면 212 546

넓은 방에서 4, 전봉준과 밀의를 나누다 213 547

연맹위원, 대대적으로 총독을 설득하다 214 547

병력을 4방향으로 나누어 경군을 맞아 토벌하다 221 553

천우협의 작전 계획 224 555

동면군의 진퇴 226 557

남면군의 진퇴 230 559

서면군의 진퇴 231 560

유격군의 진퇴 231 561

진격군의 진퇴 233 563

첫 전투의 전체 국면 관찰 236 565

2일째 이른 아침의 동면군 237 565

2일째 이른 아침의 서면군 238 566

2일째 이른 아침의 북면군 238 567

세 번째 전투의 야습, 경군을 분쇄하다 240 568

만마관(萬馬關)의 소년 영웅 243 571

삼가 조칙의 뜻을 받들다 244 571

강화의 조건 245 572

사람들이 피곤해져서 다시 전쟁을 말하지 않다 246 573

일대 영단으로 칙사를 참수하려 하다 247 573

3명의 지사, 칙사의 거처를 방문하다 248 574

동지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249 575

가짜 칙사의 정체를 밝히다 249 575

전봉준, 여러 차례 천우협을 위로하고 타이르다 251 577

야밤에 영웅은 크게 재거를 의논하다 254 579

의거를 세계 만민에게 알리기를 바란다 256 581

깊은 밤 진지에서 주문(咒文) 소리가 높다 257 582

고별의 증답(贈答) 257 582

() 총독, 당군(黨軍)을 검열하고

옥과(玉果)를 떠나다 260 584

패왕대(覇王臺) 위 천우협의 감개 261 586

순회(巡回)정부로서 동학군 262 587

약탈자를 총살형에 처하다 263 588

전봉준, 원수[仇敵]의 가족을 후히 보호하다 264 588

우치다의 유술(柔術), 당군(黨軍)을 진율(震慄)하다 265 589

천우협, 일본군을 위해 아산의 청군을 견제하다 266 590

도망간 관리가 점차 돌아오다 266 590

샛길에서 경군(京軍)의 본영을 살피려 하다 268 592

다나카가 닭 머리를 잘라 촌민에게 유고(諭告)하다 269 592

전주성의 철문을 부수다 270 593

적의 안내장을 들고 적진 속으로 들어가다 270 594

화기(禍機)가 점차 나타나다 272 596

마부의 도망과 협도의 곤란과 재액 273 596

관철영(觀察營)에서 크게 관리를 설득하다 274 597

다시 일어나 관찰사를 포로로 삼다 276 599

양사(兩士) 문루(門樓)에 누워 적의 정세를 살피다 277 600

 

서문의 수비병을 물리치고 돌파하다 279 601

아아, 이것이 천우(天佑)이다 282 604

천우협 일행을 포로로 삼다 283 605

강을 앞에 두고 추적하는 기병을 막으려 하다 284 606

삼례역(參禮驛)의 대회의 284 606

적의 첩자로 하여금 짐을 운반하게 하다 286 607

청군 장수 전주영에서 천우협을 괴롭히다 286 608

협도 청국 황제의 칙유를 벗겨 버리다 287 608

협도가 글을 남겨 현령을 깨우치다 288 609

상국대인행진선정비(上國大人行陣善政碑)를 부수다 290 611

산사(山寺)를 방문해 대미륵불(大彌勒佛)을 매도하다 290 611

새 다리에서 밤에

숙박하며 익살극으로 밤을 지새우다 292 613

130도의 타는 듯이 뜨거운 지옥을 달리다 293 613

계룡산의 농성 294 614

호남감사 사신을 보내 안부를 묻다 295 615

한밤중에 단상(壇上)에서 영웅의 뜻을 말하다 297 616

 

 

남정여록

남정여록 305 623

 

 

동학당시찰일기

75 314 632

6 314 632

7 315 632

8 315 633

9 316 633

10 316 633

11 317 634

12 317 634

13 318 635

14 318 635

15 319 635

16 320 636

17 321 637

18 324 639

19 324 640

20 325 640

21 332 646

22 333 647

23 334 647

24 334 647

25 334 647

 

26 335 648

27 335 648

28 335 648

29 336 649

30 336 649

31 337 649

81 337 649

2 338 650

 

 

일청교전록

1호 일청교전록 발간의 주요 취지 343 655

일청교전록 제1: 일청개전론 344 656

조선의 신흥과 동양의 평화 347 659

한경(韓京)의 작은 전투(일본군과 조선군의 충돌) 351 662

일본, , 조선 충돌의 원인 351 662

우리 일본 군대 357 668

일본군이 조선군을 내쫓다 357 668

우리 군 왕성 부근을 진정(鎭定)하다 359 669

조선군이 고전한 장소 359 669

교전지 359 670

조선군의 실제 숫자 360 670

피아 사상자 수 360 671

전승(戰勝) 여담[餘聞] 361 671

오토리 공사의 참궐(參闕) 361 671

6호 일한 양국 공수동맹 361 671

일한 양국 맹약 361 672

일한 양국 공수동맹조약 362 673

동학당 관계 기사 364 674

조선의 폭도 364 674

동학당의 동정 364 674

한민(韓民), 일본 병참관(兵站官)을 살해하다 364 674

동학당의 습격 365 675

12호 동학당 수령 방문기 365 675

대원군과 개혁 370 679

13 372 681

동학당 사방에서 일어나다 372 681

동학당 추토(追討) 372 681

 

 

일청전쟁실기

전라도의 보리농사 375 685

동학당의 술회시(述懷詩) 375 685

전라도 남부 동도(東徒) 진압 보고 376 686

대한정책(對韓政策)과 각 파(各派) 379 688

한산(韓山) 개혁의 풍운(이전 글의 계속) 381 690

한산개혁의 풍운(16편의 계속) 388 696

동도(東徒) 토벌 보고 401 709

 

 

원문405

찾아보기713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