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연락처
기념재단
TEL. 063-530-9400
박물관
TEL. 063-530-9405
기념관
TEL. 063-530-9451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사료 아카이브 로고

SITEMAP 전체메뉴

1차 사료

사람이 하늘이 되고 하늘이 사람이 되는 살맛나는 세상
일러두기

다음 해 병진년(1856년) 4월이었다. 양산군 천성산(통도사 뒤에 있다)에 들어가 3층의 도단(道壇)을 쌓고 향과 폐백을 갖추어 광제창생(廣濟蒼生)의 뜻을 발원하면서 49일 동안 경건하게 기도를 했는데 그 기간이 이틀이 못되어 마음의 흐름이 홀연히 스스로 용솟음쳤다. 스스로 자기의 숙부가 병을 돌아가셨음을 헤아리고 드디어 마음을 닦는 일을 철폐하고 하산해 보니 장례를 이미 치렀다.
정사년(1857년) 여름에 다시 천성산에 들어가 칠칠일(七七日) 기도를 거행하였다. 그 때 영험이 원융해서 충만하여 마치 홀로 얻은 신묘함이 있었다. 집으로 돌아와서 견도망산(見道忘山)의 뜻을 가지고 남은 장토(庄土)를 모조리 팔아, 살고 있는 문밖에 철물점을 차리고 도량을 후원에 열었다. 그러고 나서 경건히 기도를 올린 것이 무릇 백오일 동안이나 되었다.
그 때에 이웃에 한 노파가 살았는데 별안간 미친병에 걸린듯하더니 놀라 땅에 엎어졌다. 노파의 아들 셋과 사위 둘이 모두 주 앞에 몰려와 울면서 구해달라고 애걸했다. 그래서 제세주가 “너희들이 나를 믿고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하자 아들과 사위들이 모두 머리를 땅에 구부리고 주의 말씀을 들으려 했다. 제세주가 정수(淨水)로 노파의 얼굴을 적시고 손수 어루만지자 조금 지나서 목구멍 안에서 잔기침을 하고 약간 움직이더니, 연달아 피를 한 덩어리 토해내며 몸을 뒤척이면서 살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듣고 놀라지 않는 이가 없었다.
이후로 제세주는 무리를 떠나 홀로 살면서 수정(守正)의 학에 전적으로 마음을 쏟았다. 마침내 처자를 거느리고 용담의 옛집에 돌아와서 이름과 자도 고치고 옷과 갓을 벗어버리고 밖에 나오지 않을 것을 다짐하고 고행을 참고 닦으며 힘써 지성으로 하늘에 기도했다. 이때가 제세주가 탄생한지 36년이 지난 기미년(1859년) 10월이었다.

제세주가 비로소 광제창생의 큰 뜻을 품고 옷을 떨치며 집을 나와 양산과 울산의 사이를 두루 돌아다니다가, 기이한 중으로부터 신령스런 글을 받아 현기(玄機,깊은 기미)를 스스로 깨쳤다. 도단을 천성산에 쌓고 정성껏 북두칠성에 빌었다. 마침내 숙부의 병을 알았으며 이웃집 할미의 병을 낫게 했다.
이는 특히 제세주의 작고 작은 그저 사소한 일일 뿐이다. 여기 저기 주유하다가 마침내 용담 옛집으로 돌아와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살면서 걱정이 없었으며 도를 좋아해 스스로 즐겼다. 하늘이 우리 제세주로 하여금 은거하며 연찬을 다하게 함으로써 널리 덕을 펼치고자 한 것이 아니겠는가?

주석
광제창생(廣濟蒼生) 동양 의술에서는 보제창생(普濟蒼生) 또는 광제중생(廣濟衆生, 널리 중생을 구제한다는 뜻)을 말하는데 이의 글자를 바꾸어 범위를 넓혔다. 창생은 모든 사람을 뜻한다.
견도(見道)는 불교에서 진리를 알아볼 수 있는 경지, 망산(忘山)은 번뇌를 잊는 것이다.
천도교에서 기록한 『대선생사적』에는 토지 매매 관계로 노파가 들어와 욕을 하자 “대선생”이 밀쳐서 땅에 엎어졌다고 쓰여 있다. 여기에는 이를 미화해서 쓰고 있다.
최제우는 훗날 마음을 지켜 기를 바로잡는다는 뜻을 지닌 수심정기(守心正氣)를 수도의 기본으로 삼았다.
이 페이지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는 재단이 되겠습니다.

56149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 TEL. 063-530-9400 FAX. 063-538-2893 E-mail. 1894@1894.or.kr

문화체육관광부 전라북도청